협회업무


새건축사협회는 아래와 같은 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하고자 합니다. 이들 사업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한국건축의 국제화를 위하여 건축 인프라를 구축하고자함
둘째, 회원 각자의 전문가적 역량을 제고하고자함
셋째, 사회적 기여를 통해 건축사의 올바른 위상을 인정받고자 함
넷째, 회원들의 권익을 옹호하고 집단적 이해에 공동대처하고자 함 
다섯째, 회원 간 이해상충을 조정하고 신뢰회복을 꾀하고자 함 여섯째, 협회재정의 독립성과 견실성을 높이고자 함


사업계획 A to Z

Archive
준공건축물, 설계진행 건축물 등 집성
중단기적으로는 회원들의 작품을 안내하고 중복수임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장기적으로 한국 근, 현대 건축물의 총집성을 목표로 함. 로테르담의 경우같이 시민들이 모두 도시와 건축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게 하는 역할을 기대함.

 

담당위원회 : 자료위원회, 정보위원회

 

Books & Booklet
교과서, 자료집, 실무편람 등 간행사업
초, 중 ,고교 대상 건축교과서, 대학 건축설계 교과서, 일반인 대상 건축 입문서 및 실무건축가들에게 필요한 각종 텍스트 북 및 실무 편람 등의 집필, 간행 사업. 중단기적으로 기존 건축 관련 출판사들의 기획, 협의 조정기구의 역할을 할 필요 있음.

 

담당위원회 : 교육위원회, 편찬위원회

 

 

Catalog
자재 및 재료 카탈로그 집성 및 자료집 간행
현재 각 설계 사무소 별, 건기연 등 연구 단체 별로 각기 다른 분류체계에 의해 집성되고 있는 카탈로그를 통합 분류체계에 의해 정리하여 예컨대 Sweet's Catalog 같은 자료집이 되게 함. 중단기적으로 분류체계 조정위원회를 가동하고 회원사무소부터 작업함.

 

담당위원회 : 기술위원회, 정보위원회

 

Data Base
설계자료, 계획자료, 경영자료 등의 각종 데이터 베이스 구축
각종 통계와 연구 등을 집성하여 초기 계획 단계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DB구축, 설계 단계에서 공유하여 쓸 수 있는 각종 디테일, 시방서, check list 등을 DB화, 수주 및 업무 현황 등의 파악과 통계, 이를 통한 경영 자료의 DB화.

 

담당위원회 : 기술위원회, 정보위원회, 자료위원회

 

E-business
공동구매, 각종 중개알선
회원 사무실에 필요한 각종 기자재 및 프로그램, 소모품의 전자 상거래를 위한 기능을 갖춤. 회원 간 물품 및 프로그램 거래 알선(B to B), 단독 사무실을 위한 공용 홈페이지 제공, 부가가치를 갖춘 부동산 정보 제공 및 중개 알선(B to C).

 

담당위원회 : 복지위원회, 정보위원회

 

Fund
각종 기금 조성
장기 과제 투자 및 비수익 사업을 위한 기금 조성, 이 기금은 원칙적으로 회원들의 기여를 통한 협회 차원의 수익 사업을 통해 조성되겠지만, 기타 출연, project financing등의 방식으로도 가능할 것임.

 

담당위원회 : 복지위원회, 대외협력위원회

 

Good Awards
선정 및 포상
Good (Architect, Client, Builder, Officer, Teacher, Student....) Award를 
제정하여 건축문화 발전에 공이 큰 개인 및 단체를 선정하여 포상함. 기존의 상훈 제도와 차별성을 가지기 위하여 선정 기준, 방식, 포상 수준에 대한 철저한 연구가 필요함.

 

담당위원회 : 건축상위원회, 윤리위원회

 

Habitat
주거운동 지원
건축의 공공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익은 없으나 건축 서비스가 요구되는 분야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예컨대 불량주거단지 개선 사업 지원, 저소득층 주거설계 상담 센터 개설, Habitat, ACHR(Asian Coalition for Housing Right)등과의 협력 사업 등.

 

담당위원회 : 대외봉사위원회, 공공위원회

 

Incubator
설계사무소 창업지원
젊은 건축가들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 신용협동조합 설립을 통하거나 금융기관에 신용을 공여하여 자금을 지원하는 방법, 공용사무실 및 공용 집기 공용 스태프 제공의 
방법, 프로젝트 소개 및 공여.

 

담당위원회 : 창업지원위원회, 복지위원회

 

Journal
실무자용 잡지 창간
기존의 화보 위주의 건축 잡지와 차별되는 실무 건축가 용 건축 잡지의 간행, 작품 소개 
외에도 기술 자료, 경영 자료, 업계 자료 등이 내실 있게 편집되어야 할 것임. 미국의 
AIA의 기관지가 된 R(Architectural Record)가 참고가 될 것임.

 

담당위원회 : 기관지위원회, 편찬위원회

 

Korean Graphic Standard
도면 작성 기준 간행
궁극적으로 미국의 Architectural Graphic Standards 같은 자료집 간행을 목표로 
하되 현재 각 사무소 별로 무질서하게 통용되는 도면 관련 기준들의 통일화 작업과 
디지털화가 절실히 요구됨. CALS등과 연계할 시 국책 자금의 지원도 가능함.

 

담당위원회 : 기술위원회, 정보위원회, 자료위원회, 편찬위원회

 

Licence Center
각종 자재, 공법 등 인증 및 추천
회원들의 사용 경험 및 평가에 의거 각종 자재와 공법에 대해 인증 및 추천을 하는 방식, 이 Customer Evaluation System이 확장되면 각종 건축 관련 업체 예컨대, 건설회사, 엔지니어링 및 컨설턴트, 기자재 업체에 대한 평가도 가능할 것임.

 

담당위원회 : 기술위원회, 연구위원회

 

Management Consulting
중소 설계 업체 경영자문
독자적인 경영 지원 체계를 가지지 못한 중소 업체 회원에 대한 협회 차원의 지원. 재무, 총무, 노무 지원, 경영자문, 법률 구조 업무 등이 가능할 것임. 이는 on-line으로 함을 원칙으로 하되, 협회에서 전담 전문가를 위촉하여 회원들을 지원할 수도 있게 함.

 

담당위원회 : 복지위원회, 대외협력위원회

 

Network Service
협업체계, 정보, 인력 공유 네트워크 구축
설계 업무의 특성 상, 스태프의 유연적 가동이 필요함을 고려하여 회원간 인적, 물적 공용 체제를 네트워크를 통해 구축함. 신뢰구조를 바탕으로 한 이 네트워크는 참여자 각각에도 효율성을 높여주지만 전체 네트워크에도 지적 상승효과가 발생할 것임.

 

담당위원회 : 정보위원회, 복지위원회

 

Opportunity Center
구인/구직, 설계/현상 정보 제공
정규 및 비정규직 구인 및 구직에 대한 정보 센터. 협회 주도의 공정한 고용 계약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할 것임. 각종, 국내외 현상 설계, 입찰에 대한 정보 센터, 소극적 게시가 아니라 필요로 할 회원들에게 정보를 밀어 넣는(push) 방식 채택.

 

담당위원회 : 복지위원회, 정보위원회, 행사기획위원회

 

Public Architect
공공 프로젝트 수주 및 수행
중앙 혹은 지방자치 정부가 발주하는 각종 공공 프로젝트의 수주 및 수행, 예컨대 가로 계획 및 가로 조형물 등의 디자인 등이 있을 수 있음. 주공, 도공, 토개공, 도개공 등에 공공 건축가를 파견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

 

담당위원회 : 연구위원회, 공공위원회, 대외협력위원회

 

Qualification Service
조정위원, 심의위원, 심사위원, 추천 및 파송
현재 건축 관련 각종 부조리 및 내부 신뢰구조 붕괴의 주범인 심사 및 심의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협회 차원에서 자격과 의무를 부여한 인사의 파견이 현실적인 대안일 것임. 협회는 이들 위원의 선정, 파송, 평가 등의 업무를 위임받아 수행함.

 

담당위원회 : 설계경기위원회, 윤리위원회, 대외봉사위원회

 

Research Center
각종 민간 및 국책 연구 사업, 수주 수행
협회 부설 건축 연구소를 설치하여 각종 민간 및 공공 프로젝트를 수행함. 이는 회원들의 컨소시움의 형태로 수행할 수도 있고 연구소에 소속된 연구원 건축사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음. 이 경우 이들에게 이 업무는 seed project가 될 것임.

 

담당위원회 : 연구위원회, 대외협력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