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건축사협의회
  • 협회소개
  • 협회소식
    • 전체
    • 성명서
    • 행사
    • 강연
    • 정책위원회
    • 기타
    • 세미나
  • 협회 사업실적
    • 전체
    • 설계공모
    • 연구
    • 행사
    • 한국현대건축전
    • 도시답사
  • 구인구직
    • 전체
    • 구인
    • 구직
  • 설계공모
    • 전체
    • 일반공모
    • 제안공모
  • 건축광장
    • 전체
    • 건축소식
  • 건축, 책을 묻다
  • 건축집담
  • 건축실무교육
  • 후원·협력사
    • 전체
  • 주요사업
    • 건축명장
    • 젊은건축가상
    • 근대건축공모전
    • 건축과사회
    • 건축자료실
  • 협회정보
    • 협회가입
    • 협회업무
    • 협회정관
    • 협회소식 구독

03184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42
피어선빌딩 501호
Tel. 02-575-9751
Fax. 02-575-9781
Email. kai@kai2002.org

  • Facebook
  • Instagram
  • Youtube
건축광장
2025.05.12
고흥군 거금도 금진항 어촌 활력 증진을 위한 대학(원)생 아이디어 공모전
공모명 : 고흥군 거금도 금진항 어촌 활력 증진을 위한 대학(원)생 아이디어 공모전주제 : 고흥군 거금도 금진항 어촌 활력 증진 방안 제안 -철룡산 활용을 중심으로-대상지 :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금진마을 철룡산 일대참가자격 : 건축, 도시 관련 전공 국내 대학생 및 대학원생공모일정 구분날짜공모공고2025. 05. 12. (월)참가등록 및 질의2025. 05. 13. (화)-06. 16. (월) 16:00 마감전문가 공모 설명5월 중순, 6월 초순, 6월 중순 예정질의 답변2025. 06. 20.(금)현장설명회2025. 06. 27.(금)1차 작품접수2025. 08. 01. (금) 16:00 마감1차 작품심사2025. 08. 05. (화)1차 심사 결과발표2025. 08. 06. (수)2차 작품접수2025. 08. 12. (화) 16:00 마감2차 작품심사2025. 08. 18. (월)2차 심사 결과발표2025. 08. 19. (화) 심사위원우대성 / 우연히 프로젝트 건축사사무소김호민 / 폴리머건축사사무소이성범 / 이성범 건축사사무소성주은 / 연세대학교심희준 / 건축공방 - 문의: 새건축사협의회 (02-575-9751)
협회소식
2025.04.24
[세미나]명장의 손길: 대한민국 '건축명장'의 생생한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합니다.
협회소식
2025.03.04
[강연]안창모의 도시건축사 강좌 시즌4
안창모의 도시건축사 강좌 시즌4 <건축가> 2025년 3월에 시작하는 도시건축사 시즌4의 주제는 ‘건축가’입니다. 개항 이후 이 땅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건축가를 주제로 한 강의입니다. 생각보다 손으로 꼽을 수 있는 건축가가 많지 않습니다. 일제강점기를 겪었기에 우리보다는 일인들에 의한 건축이 꽤 많았고, 개항에서 해방에 이르는 70년 동안 이 땅에 이들의 건축만 있지 않았으니, 근대기 우리 건축의 역사는 이름을 알 수 없는 많은 이들의 역할이 더 컸음이 분명합니다. 우리의 건축 역사에서 많은 빈 틈을 온전하게 채우고 조명하는 일은 오늘을 사는 우리의 몫입니다.---------------------------------------------------------------------------1강_3월 17일 아파나시 이바노비치 세레딘 사바틴(Афанасій Іванович Середін-Сабатін, 1860-1921) 2강_4월 7일 유진 코스트(Eugene Jean George Coste. 고의선高宜善, 1842-1896) 3강_4월 21일 심의석(沈宜碩, 1854-1924) 이훈우(李醺雨, 1886-1937) 4강_5월12일 나카무라 요시헤이(中村與資平, 1880-1963) 5강_5월26일 박길룡(朴吉龍, 1898-1943) 6강_6월 2일 박동진(朴東鎭, 1899-1981) 7강_6월16일 윌리암 보리스(William M. Vories,1880-1964)와 강윤(姜沇, 1899-1974)--------------------------------------------------------------------------- -강 연 자: 안창모(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강연일정: 3-6월 격주 월요일 저녁 7시 (강연1시간, 질의응답 30분 예정)-강연신청: 구글신청링크 https://forms.gle/E6iH7SeLFyrXLahE9-강연장소: ZOOM (http://us02web.zoom.us/j/89721629846?pwd=583SEDEYBuoEeMff2havkBvpnIXfwA.1)회의 ID: 897 2162 9846암호: 2025★대기실 승인 후 입장 가능(성명 또는 소속으로 입장해주세요!)★ -참가대상: 건축 관련 직종 종사자, 대학원생 및 대학생, 일반인-주최/주관: (사)새건축사협의회, (사)근대도시건축연구회-문 의: 새건축사협의회 사무국 02-2057-9490 ※ 본 강연은 무료이며, 누구나 참여가 가능합니다!
협회소식
2025.04.23
2025 연회비 납부 안내
구인구직
2025.04.01
㈜핸드플러스건축사사무소 경력사원을 모집합니다.
설계공모
2025.05.12
거창아트갤러리 건립사업 설계용역 제안공모
현재 거창군을 비롯한 경남 북부권역(거창, 함양, 합천, 산청)은 문화예술의 관람, 창작활동, 교육 등을 위한 생활문화시설이 부족한 상황이다. 열악한 여건 속에서도 지역에서 운영하는 전시 프로그램 관람객과 생활문화 활동 수요는 펜데믹 이후 꾸준히 늘어나는 등 지역주민의 문화예술 향유 욕구가 증가 추세에 있다. 거창군은 문화예술 인프라 보완 및 문화관광자산 확대를 위해 거창군을 대표하며 다목적 문화예술체험 및 지역 복합 문화커뮤니티 역할을 할 수 있는 거창아트갤러리를 건립하고자 한다. 이에 본 공모의 목적은 설계자의 경험과 역량, 수행계획 및 방법 등을 평가하는 ‘제안공모’ 방식으로 방향에 대한 이해와 창의적인 아이디어 제안은 물론 기술적, 전문적인 수행능력을 함께 겸비한 가장 적합한 설계자를 선정하고자 한다.
건축광장
2025.03.27
「2025 근대 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 본 공고
2025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안양 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의 가치 보존과 지역 재생Preservation and regeneration of the old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main building 1. 공모전 취지 및 배경 대상지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175 (안양동 480) (옛)농림축산검역본부 일원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약칭 근대도시건축연구회)과 (사)새건축사협의회는 “안양 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의 가치 보존과 지역 재생”을 주제로 「2025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한다. 안양시 만안구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안양로를 따라가다 보면 도심지 건축물들 사이로 낮은 담장에 숲이 우거진 공원 같은 공간이 나타난다. 2016년 경상북도 김천으로 이전한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있던 곳으로 56,309㎡의 대지에 총 27여 동의 건축물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국내외 축산 식품에 대한 위생관리와 검역, 축산농민을 위한 가축 질병의 예방 및 퇴치, 해외 가축 전염병의 유입 방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관이다. 1961년 부산에 있던 ‘가축위생시험소’가 태풍으로 소실되자 농업 관련 연구기관을 수원 중심으로 집중시키고자 했던 정부 방침에 따라 USOM(한미경제협력위원회)의 협조자금으로 1962년 본관동을 시작으로 종합시설을 건립했다.서울에서 수원으로 이어지는 경수대로의 중간에 위치한 안양은 1973년 안양읍에서 안양시로 승격되었다. 안양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기존 시가지는 1960년대와 1970년대를 거치면서 점차 남쪽으로 확장되는데 이 시기에 가장 먼저 건립된 시설 중 하나가 농림축산검역본부(당시 가축위생연구소)였다. 안양역 인근에 있던 안양시청은 1975년 농림축산검역본부의 남쪽에 새로운 청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가 1990년대 평촌신도시가 조성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1996년 재이전하면서 기존 청사는 만안구청으로 사용하고 있다. 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이하 ‘본관동’)은 우리나라 근·현대건축을 대표하는 교육자이자 건축가였던 이광노(1928~2018) 교수가 설계한 건축물이다. 1949년 대구시청사 현상설계를 시작으로 건축가로 활동을 시작한 이광노 교수는 1955년 설계 작업을 위한 무애건축연구소를 설립했고 1956년 서울대학교 교수에 임용된 후 1993년까지 후학 양성에 헌신하였다. 국회의사당 설계에 참여했고, 서울대학교병원, 남산 어린이회관 등을 설계했던 이광노 교수의 작품 중에서 본관동은 활동 초기에 해당하는 작품이다.본관동은 지상 3층의 철근콘크리트조 ‘T’자형 평면의 건축물로 항생항습실, 무균작업실과 같은 시설을 갖춘 연구소 기능의 건축물로 지어졌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이 지나고 우리 스스로 모더니즘 건축을 만들어가던 초창기 작품 중 하나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주출입구 캐노피와 톱니 형태의 수직창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처리와 함께 캔틸레버로 돌출된 2층 공간의 밝은 타일 마감과 창문, 돌출된 수직 요소의 반복된 질서는 이 건축물이 우리 초기 모더니즘 건축에서 충분히 기억될 만한 작품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관동 3층 정면에는 콘크리트 부조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로 말과 소가 마주 보고 있고 아래쪽에는 토끼와 양, 쥐와 돼지 등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부조의 왼쪽 위에는 도식적으로 표현된 태양이 있으며 오른쪽 위에는 ‘Laboratory’라는 영문이 새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콘크리트 부조는 ‘가축위생연구소’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이 부조는 서울대학교 교수를 지낸 우리나라 근·현대 대표 조각가인 김세중(1928~1986)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김세중은 혜화동 성당 정면의 화강석 부조인 ‘최후의 심판도(1961)’를 조각했으며 광화문의 ‘충무공 이순신 장군상(1968)’ 등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조각 작품을 남겼다. 1960~70년대 지어진 건축물에는 유명 조각가의 작품을 부조로 장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잘 알려진 세종문화회관의 ‘비천상(1977)’은 조각가 김영중(1926~2005)의 작품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이전 이후 장소의 활용방안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2017년 안양시는 전체 대지의 절반은 주민 편의시설 및 공공시설로 활용하고 나머지 절반은 투자설명회를 통해 기업의 첨단지식산업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수립했다. 몇 차례 외부 용역을 진행하며 개발 방향을 모색했고 안양시청 이전 등의 시장 공약이 발표되기도 했으나 최종 방향이 결정되지 않은 채, 2018년부터 시민들에게 개방하여 도심 속 휴식처로 활용하고 있다.2023년 제7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APAP)가 이곳에서 열렸다. 본관동 내부에 미디어아트, 퍼포먼스 아트, 커뮤니티 아트 등 다수의 작품을 선보였고 야외에는 두 개의 작품을 설치하면서 문화예술공간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자리였다. 이 행사는 옛 농림축산검역본부 일대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민들이 직접 경험하는 계기가 되었다. 안양 옛 농림축산검역본부는 20세기 중반 안양시의 역사를 담고 있는 공간이다. 본관동은 건축가 이광노의 초기 모더니즘 건축과 조각가 김세중의 콘크리트 부조 조각이 공존하는 곳이다. 아울러 이곳은 안양시 만안구의 도심 재생과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가능성을 지닌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이 갖는 건축적·조각적 가치와 해당 영역에 대한 안양시의 지역 재생에 대한 기대가 어떤 방식으로 조화를 이루어갈 수 있는지, 이에 대한 우리 모두의 지혜를 모으고자 ‘2025년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의 대상지로 ‘안양 옛 농림축산검역본부’를 정한다. 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의 가치를 보존하면서 새로운 기능과 아이디어로 재창조하고, 도시적 맥락과 지역 재생의 요구를 반영하여 미래 가치를 창출할 창의적인 해법을 기대한다. 공모전준비위원회 ※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본관동)은 존치해야 하며, 나머지 건축물은 철거하거나 현황 유지하여 리모델링할 수 있다. 2. 공모 일정 및 요강 접수 및 등록· 대상: 역사·도시·문화와 근대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에 관심 있는 분· 기간: 2025년 3월 4일(화) ∼ 4월 25일(금)· 방법: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 홈페이지(http://skma2020.com/) 또는 (사)새건축사협의회 홈페이지(http://www.kai2002.org)의 공모전 안내에 따라 [웹하드 내리기전용 폴더]에서 사전등록서 양식을 받아 내용 작성 후 이메일 접수- 웹하드 주소: www.webhard.co.kr [ ID: remoarch2025 PW: skma202500 ] (숫자00)- 신청서 제출 메일 주소: 2025rebirthdesign@gmail.com· 참가비: 1팀당 100,000원(팀원 3인 이내로 제한, 4/18(금)까지 응모 철회시 전액 반환, 이후는 환불 불가)입금 계좌번호: 우리은행 1005-702-585963 (사)새로운문화를실천하는건축사협의회※ 참가비는 “팀장 명의”로만 입금(이체). 불필요한 정보 입력시 입금확인 불가함 (ex. 참가비,공모전,새건협…)※ 참가비 현금영수증 발행 불가함 (「법인세법」 116조 2항, 「법인세법시행령」 158조 1항 1.가 에 의함)※ 이메일 접수 및 입금 확인 후, 공모전사무국에서 접수번호 부여 예정 (입금 확인 후 이메일 개별 통보)※ 이메일 접수 이후, 공모전 관련 각종 안내사항은 각 팀의 팀장 이메일(또는 핸드폰번호)로 공지 예정· 제공자료: 기본 제공 자료 - 건축개요, 배치도, 현황자료 [웹하드 내리기전용 폴더]입금자 전용 자료 – 도면 및 기사, Drawing파일(항측도 등) [웹하드 내리기전용 폴더*비밀번호]※ 입금자 전용 자료의 비밀번호는 입금 확인 후 각 팀의 팀장 이메일로 통보· 질의내용: 정해진 기간 내 양식 작성 후 웹하드 올리기전용 폴더에 제출. 답변은 내리기전용 폴더에 게재 워크숍 (온라인 진행)등록신청 기간 중 계획되어 있는 워크숍은 응모자의 이해를 돕고 공모전 취지에 대한 대화를 현장에서 나누는 기회로 준비한 것으로서, 각 분야의 전문가와 심사위원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한다. 이 워크숍의 참가 여부는 권장 사항일 뿐 작품 선정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워크숍은 온라인으로 진행함. 심사위원김승회 (심사위원장, 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대표)정현아 (디아건축사사무소 대표)신호섭 (신아키텍츠 대표)최혜진 (오즈앤엔즈 건축사사무소 대표)최영준 (건축사사무소 아키텍톤 소장) 작품 접수· 일시: 2025년 6월 11일(수) : 10:00~15:00· 접수: 온라인 파일 업로드 (웹하드 이용, 추후 자세히 공지) 제출물1. A0 [841mm(너비) × 1188mm(높이)] 패널 1장 ※ 패널 전체 배치는 위아래로 긴 세로방향(전체 가로방향 배치나 동일한 넓이의 변형 규격등은 불가) 2. 접수증, 출품작 저작권 및 사용 동의서 [공모전 웹하드 양식 제공] 3. [웹하드 올리기전용 폴더]에 아래의 파일을 팀별로 묶어 업로드- A4 2장 이내로 정리한 한글 작품설명서(에세이) [공모전 웹하드 양식 제공]- A0 패널 이미지 파일 1매: jpg 포맷, A0 (9933☓14032 pixel) 300 dpi로 작성한 1매 (60MB 이하) ※ 모형은 제출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패널에 모형사진 등을 넣을 수 있음※ 입상 작품은 「2025 근대 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 도록으로 편집·출간 예정※ 심사 후 탈락 작품은 반환하지 않음.※ 출품작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수상작에 한해서 도록제작 및 홍보용 사용권은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에 있음. 시상 내역· 대상 2팀 각 상장과 상금 500만원· 특별상 1팀 [무애 이광노 건축상], 상장과 상금 각 300만원· 우수상 3팀 [도코모모인터내셔널상,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 회장상, (사)새건축사협의회 회장상], 상장과 상금 각 100만원· 특선 8팀, 상장· 입선 다수, 상장 공모전 일정· 2월 24일(월): 공모전 주제 사전공고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 (사)새건축사협의회 홈페이지]· 3월 4일(화): 공모전 본공고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 (사)새건축사협의회 홈페이지]· 3월 4일(화) ~ 4월 25일(금): 사전등록 [웹하드 내리기전용 폴더 → 이메일 접수]· 3월 10일(월)∼14일(금): 1차 질의 [웹하드 올리기전용 폴더]· 4월 12일(토) 14:00∼17:00: 공모전 워크숍 [온라인 진행]· 4월 14일(월)∼18일(금): 2차 질의 [웹하드 올리기전용 폴더]· 6월 11일(수): 10:00~15:00 작품 온라인 접수 [추후공지]· 6월 14일(토): 10:00~17:00 작품 심사· 6월 16일(월): 심사결과 발표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 (사)새건축사협의회 홈페이지]· 6월 28일(토) 15:00∼17:00: 공모전 시상식 [장소 추후공지]· 7월 5일(토) ~ 7월 12일(토) 09:00~18:00 공모전 당선작 온라인 전시회* 각 행사 일정 및 장소는 주최 측 사정으로 변경될 수 있음. 주최(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 + (사)새로운문화를실천하는건축사협의회 공모전 코디네이터김주경 (총괄코디네이터, 오우재건축사사무소 대표)윤지희라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교수)이상희 (도서출판 집 대표)정순영 ((주)플레이스랩 대표)유영수 (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 교수)주상훈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김해연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 간사) 협찬무애 이광노 교수 가족회(주) 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범도시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주) 새한티엠씨(주) 정림종합건축사사무소(주) 해마종합건축사사무소(주) 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사) 한국문화재수리기술자협회 문의공모전 공식 이메일: 2025rebirthdesign@gmail.com
설계공모
2025.04.17
문경시 북부생활권 육아종합지원센터 건립사업 건축설계공모(간이공모)
○ 본 과업은 문경시 북부생활권의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신축하여 지역 내 영유아 돌봄 거점을 마련하고, 기존 시설 부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주민 맞춤형 육아·복합 놀이문화 공간을 조성하는 데 목적이 있음. ○ 센터의 공간 구성 및 설비를 미관, 기능, 안정성, 효율성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지역의 육아와 보육 환경을 개선하고 이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함. ○ 단순 돌봄 및 교육시설을 넘어, 지역 주민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여가·문화·건강 등 다방면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 공간으로 조성을 통한 북부생활권의 보육 중심기관으로서 지역 간 육아 인프라 균형 발전에 기여함.
설계공모
2025.04.11
춘천초 교실 및 급식소 증축공사 제안공모
춘천초등학교 시설 노후화로 교육과정 수행 및 학생 이용에 있어 공간적, 기능적 한계성이 발생함에 따라, 교실 및 급식소 증축공사를 통하여 교육환경 개선 및 부속시설 이용 편의성을 증진한다.
설계공모
2025.04.30
창녕박물관 복합문화관 증축사업
*증가하는 소장품을 체계적으로 보관·관리하고 보관시설 및 전시공간 협소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장시설 건립공사를 위한 설계용역으로써 미관·구조·안전 등 다각적인 검토를 통한 합리적인 설계를 이행하기 위함. *증축의 목적 – 창녕박물관은 창녕지역의 문화유산을 전시하고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개관하였으며, 현재 군내 유일한 1종 전문박물관임. – 소장품 수집방안 중 ‘지역민 소장품 구입 및 기증’의 비중을 늘려 소중한 지역 문화유산을 안전하고 오랜 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박물관 수장시설을 개선하고자 함. – 2011년 국가귀속문화유산 보관관리 위임기관으로 선정되면서 지역 출토 매장문화유산 인수에 따른 박물관 수장률이 지속해서 증가함. – 증가하는 소장품을 체계적으로 보관·관리하고 보관시설 및 전시공간 협소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장시설을 증축하고자 함. – 일반적인 박물관 소장품 전시에서 벗어나 관람객들에게 유물의 입수에서부터 수장고 격납까지의 과정과 다양한 유물을 가까이에서 보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고자 함. *필요성 – 215㎡ 규모 수장고에 1만 2천여 점이 넘는 유물들이 격납되어 있으며, 격납장을 추가로 구매하였지만, 이동통로가 좁아지면서 유물 이동 시 위험성이 높아짐. – 창녕박물관 수장고는 재질별 분류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물을 재질 및 특성에 맞게 분류하여 기존 수장고와 연계한 효율적인 유물 관리 필요성 강조됨. – 특히 기탁유물 중 목판과 고서의 비율이 높아 재질별 관리가 시급함. *향후 창녕박물관(증축) 방향 – 개방된 공간, 개방된 소장품, 개방된 기관이라는 가치를 구현하는 문화공간인 창녕박물관 복합문화관 설립 – 최근 관람객 수가 증가한 박물관들은 전시와 관람 위주에서 벗어나 관람객들이 직접 참여하고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과 박물관 주변 주요 관광지 연계 및 복합문화공간을 활용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 – 일반적인 전시시설을 건립하는 것이 아닌, 보존과 전시가 공존하는 ‘복합문화공간’을 증축하여 문화 환경 취약지역의 한계를 극복 – 개방형 수장고의 전시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새로운 문화체험 제공 – 1차원적 수장 공간의 개방에서 그치지 않고, 교육 및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관람객들과의 소통 추구
설계공모
2025.05.01
정촌 체육시설(수영장) 건립사업 설계공모
[공모 배경] - 2024년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사업 선정 - 우수 인력 유치를 위한 생활인프라 확충 - 지역주민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체육시설 중 실내수영장에 대한 수요가 높지만, 진주시 관내 공공수영장은 초전동 1개소만 운영 중으로 2014년 정촌일반산업단지 조성 이후 인구가 급격하게 늘고 있는 남부권역의 중심지 정촌면에는 공공수영장이 부재하여 이번 사업을 통해 공공수영장 및 관련 체육시설을 설치하여 지역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산업단지 근로자들의 근로환경을 개선코자 함 [기대 효과] - 정촌면 내 3개의 산업단지 근로자(정촌일반산단, 뿌리일반산단, 항공국가산단)의 근로의욕 상승으로 기업의 활발한 경쟁력 향상에 기여 - 지역주민을 위한 체육시설(수영장) 확충을 통한 주민들의 건강과 정서 함양에 기여 - 체육·문화 활동으로 지역 커뮤니티와 건강한 교류 기회 제공 - 지역 내 일자리 창출 기여(프로그램 강사, 체육센터 고용 등) - 우주항공청 추진에 따른 정주여건 인프라 구축을 통한 청년 인구 유입 및 정착으로 인구증가 기여
설계공모
2025.05.09
춘천한샘고등학교 공간재구조화 개축공사
설계공모
2025.04.30
부산명지 외국교육기관(로얄러셀)
부산명지 외국교육기관(로얄러셀) 일반경쟁 설계공모를 시행합니다.
건축광장
2025.05.07
행정중심복합도시 탄소중립도시 선도를 위한 슬로건 공모
설계공모
2025.04.29
반려동물지원센터 건립사업
반려동물 1,500만시대 도래로 상징되는 반려동물 양육 인구의 급속한 확산과 동물복지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반면, 진주시 일원은 반려동물과 반려인을 위한 동물놀이터, 교육 및 교류의 장, 반려문화시설 등 공공서비스 인프라가 부족해 이를 위한 플랫폼 기반 구축 필요성 증대하고 있다. 반려동물 수요 대비 진주시의 지역연관산업은 아직 초보적인 상황으로 취약한 실정에 있어 반려동물 지원센터 건립을 통해 여가산업, 뷰티, 펫케어, 동물의료 및 치유, 의료기기 및 의약품 등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다.
건축광장
2025.02.24
2025 근대 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 사전공고
2025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안양 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의 가치 보존과 지역 재생 대상지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175 (안양동 480) (옛)농림축산검역본부 일원 내용(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약칭 근대도시건축연구회)과 (사)새건축사협의회는 “안양 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의 가치 보존과 지역 재생”을 주제로 「2025 근대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한다. 공모전 취지 및 배경안양시 만안구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안양로를 따라가다 보면 도심지 건축물들 사이로 낮은 담장에 숲이 우거진 공원 같은 공간이 나타난다. 2016년 경상북도 김천으로 이전한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있던 곳으로 56,309㎡의 대지에 총 27여 동의 건축물이 고스란히 남아있다.농림축산검역본부는 국내외 축산 식품에 대한 위생관리와 검역, 축산농민을 위한 가축 질병의 예방 및 퇴치, 해외 가축 전염병의 유입 방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관이다. 1961년 부산에 있던 ‘가축위생시험소’가 태풍으로 소실되자 농업 관련 연구기관을 수원 중심으로 집중시키고자 했던 정부 방침에 따라 USOM(한미경제협력위원회)의 협조자금으로 1962년 본관동을 시작으로 종합시설을 건립했다.서울에서 수원으로 이어지는 경수대로의 중간에 위치한 안양은 1973년 안양읍에서 안양시로 승격되었다. 안양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기존 시가지는 1960년대와 1970년대를 거치면서 점차 남쪽으로 확장되는데 이 시기에 가장 먼저 건립된 시설 중 하나가 농림축산검역본부(당시 가축위생연구소)였다. 안양역 인근에 있던 안양시청은 1975년 농림축산검역본부의 남쪽에 새로운 청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가 1990년대 평촌신도시가 조성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1996년 재이전하면서 기존 청사는 만안구청으로 사용하고 있다.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이하 ‘본관동’)은 우리나라 근·현대건축을 대표하는 교육자이자 건축가였던 이광노(1928~2018) 교수가 설계한 건축물이다. 1949년 대구시청사 현상설계를 시작으로 건축가로 활동을 시작한 이광노 교수는 1955년 설계 작업을 위한 무애건축연구소를 설립했고 1956년 서울대학교 교수에 임용된 후 1993년까지 후학 양성에 헌신하였다. 국회의사당 설계에 참여했고, 서울대학교병원, 남산 어린이회관 등을 설계했던 이광노 교수의 작품 중에서 본관동은 활동 초기에 해당하는 작품이다.본관동은 지상 3층의 철근콘크리트조 ‘T’자형 평면의 건축물로 항생항습실, 무균작업실과 같은 시설을 갖춘 연구소 기능의 건축물로 지어졌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이 지나고 우리 스스로 모더니즘 건축을 만들어가던 초창기 작품 중 하나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주출입구 캐노피와 톱니 형태의 수직창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처리와 함께 캔틸레버로 돌출된 2층 공간의 밝은 타일 마감과 창문, 돌출된 수직 요소의 반복된 질서는 이 건축물이 우리 초기 모더니즘 건축에서 충분히 기억될 만한 작품임을 보여주고 있다.본관동 3층 정면에는 콘크리트 부조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로 말과 소가 마주 보고 있고 아래쪽에는 토끼와 양, 쥐와 돼지 등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부조의 왼쪽 위에는 도식적으로 표현된 태양이 있으며 오른쪽 위에는 ‘Laboratory’라는 영문이 새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콘크리트 부조는 ‘가축위생연구소’의 정체성을 명확 하게 드러내고 있다.이 부조는 서울대학교 교수를 지낸 우리나라 근·현대 대표 조각가인 김세중(1928~1986)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김세중은 혜화동 성당 정면의 화강석 부조인 ‘최후의 심판도(1961)’를 조각했으며 광화문의 ‘충무공 이순신 장군상(1968)’ 등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조각 작품을 남겼다. 1960~70년대 지어진 건축물에는 유명 조각가의 작품을 부조로 장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잘 알려진 세종문화회관의 ‘비천상(1977)’은 조각가 김영중(1926~2005)의 작품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이전 이후 장소의 활용방안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2017년 안양시는 전체 대지의 절반은 주민 편의시설 및 공공시설로 활용하고 나머지 절반은 투자설명회를 통해 기업의 첨단지식산업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수립했다. 몇 차례 외부 용역을 진행하며 개발 방향을 모색했고 안양시청 이전 등의 시장 공약이 발표되기도 했으나 최종 방향이 결정되지 않은 채, 2018년부터 시민들에게 개방하여 도심 속 휴식처로 활용하고 있다.2023년 제7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APAP)가 이곳에서 열렸다. 본관동 내부에 미디어 아트, 퍼포먼스 아트, 커뮤니티 아트 등 다수의 작품을 선보였고 야외에는 두 개의 작품을 설치하면서 문화예술공간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자리였다. 이 행사는 옛 농림축산검역본부 일대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민들이 직접 경험하는 계기가 되었다.안양 옛 농림축산검역본부는 20세기 중반 안양시의 역사를 담고 있는 공간이다. 본관동은 건축가 이광노의 초기 모더니즘 건축과 조각가 김세중의 콘크리트 부조 조각이 공존하는 곳이다. 아울러 이곳은 안양시 만안구의 도심 재생과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가능성을 지닌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이 갖는 건축적·조각적 가치와 해당 영역에 대한 안양시의 지역 재생에 대한 기대가 어떤 방식으로 조화를 이루어갈 수 있는지, 이에 대한 우리 모두의 지혜를 모으고자 ‘2025년 근대도시건축디자인공모전’의 대상으로 ‘안양 옛 농림축산검역본부’를 정한다.옛 농림축산검역본부 본관의 가치를 보존하면서 새로운 기능과 아이디어로 재창조하고, 도시적 맥락과 지역 재생의 요구를 반영하여 미래 가치를 창출할 창의적인 해법을 기대한다.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 NOTE: 본 공모전 취지 및 배경은 2025년 근대 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의 사전 공지이며, 3월 첫 주에 구체적인 내용과 지침을 발표할 예정임.
협회 사업실적
2025.05.12
봉화 목재친화도시 조성사업 봉화솔향센터 건립공사 관리용역
설계공모
2025.04.21
수도권제2순환선 파주(인천방향)휴게소 등 3건 건축설계 공모
설계공모
2025.04.25
함안 청소년 꿈활력충전소 조성사업(리모델링) 설계공모
청소년수련관의 노후화된 시설을 최첨단 IT시설, 쾌적한 학습공간, 복합문화 공간을 제공하는 학습과 문화·휴식이 복합된 신개념 청소년수련관 실현 4차산업 체험관 설치: 스마트 체험공간 청소년 활동공간 설치: 댄스연습실, 놀이공간, 노래 및 밴드연습실 등 노후 설비시설물 개선 (기계,전기,통신,소방,냉·난방 설비등 전분야에 대한 검토 및 발주처 협의 후 리모델링 범위 결정) 기타 발주처에서 요구하는 부분에 대한 검토 및 반영 ※ 사업내용에 대하여 우선순위부터 예산범위 내에서 최대한 반영
설계공모
2025.05.01
갯벌치유 관광플랫폼 조성 설계공모
생태도시 순천만의 가치홍보를 위하고 순천만의 자원을 활용한 체험, 전시, 관람, 휴게 시설을 도입함. 콘텐츠 발굴 및 연계 상품화를 통한 주요 거점 공간 확보와 관광상품 활성화를 유도하며 도시확장으로부터 순천만 습지를 보호하는“하나의 플랫폼”이라는 목적을 가짐. 순천만 국가정원과 순천만 습지를 포함한 주변 맥락을 연계하여 순천만의 관광 요소 통합을 유도하며 이를 통해 이용객들에게 관광의 시작점이자 끝점이 되는 경험을 제공함. 이를 위해 철새들의 서식처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절강습지와 동천이 만나는 장소를 대상지로 선정하고 「갯벌치유 관광플랫폼」을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 제21조 규정에 따라 설계공모를 추진하고자 함. 또한, 순천의 자연경관을 해지지 않고 자연의 일부로 계획되며, 지역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요소를 담아 방문객이 다시 찾고 싶은 공간을 조성하고자 함.
설계공모
2025.04.14
국립도시건축박물관 마당 프로젝트 공모
건축광장
2025.04.18
제5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설계공모
2025.05.01
송산문화스포츠센터 건립사업 건축설계 일반설계공모
- 지역주민의 생활체육시설 확충하여 여가문화·건강증진 향상 - 유아친화형 국민체육센터를 설치하여 누구나 이용가능한, 모두를 위한 열린공간 제공 - 지역행사 및 학생들의 문화·교육·체육 활동 지원을 위한 지역 문화체육거점센터 설립
구인구직
2025.04.21
[OBBA] 신입 및 경력사원 모집
구인구직
2025.04.14
(주)디림건축사사무소 경력사원 모집
사단법인 새건축사협의회

Copyright ⓒ 2015 Korea Architect Institue.

All Rights Reserved.

새건축사협의회
03184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42 피어선빌딩 501호 
T. 02-575-9751  |  F. 02-575-9781
E. kai@kai2002.org

  • 협회가입
  • 협회업무
  • 협회정관
  • 협회소식 구독

Copyright ⓒ 2015 Korea Architect Institue. All Rights Reserved.

사단법인 새건축사협의회